2020. 11. 28. 13:10ㆍ내일의 이슈
1. 코로나 2.5단계 발효?
정부가 수도권 등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여부를 논의하기로 예고한 가운데 국내 코로나 19(COVID-19) 일주일 평균 확진자 수가 400명을 넘어섬으로써 2.5단계 기준 충족함으로써 2.5단계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방문판매 등 직접 판매 홍보관, 노래연습장, 실내 스탠딩 공연장은 집함금지조치가 내려져 이용할 수가 없다. 헬스장 같은 실내 체육시설도 운영이 안됩니다.
이렇게 되면 반사이익을 받는 부분은 제지/비대면/원격 이런 부분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판단되네요.
2. 아스트라제네카
----------------------------------------------------------------------------------------------------------------------------------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최근 공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결과가 구설수에 올랐다. 2개의 임상시험 중 예방 효과가 90%에 달했던 임상시험에서 더 적은 용량으로 더 큰 효과를 낸데 대한 설명 부족, 피험장서 55세 이상 고령자가 빠진 점등이 문제가 됐다.
문제는 아스트라제네카 측이 아직 백신 효과가 90%로 나온 임상시험에서 더 적은 용량으로 더 높은 효과가 나온 원인을 밝히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일각에선 연구팀의 실수로 적은 용량이 투여돼 우연찮게 행운을 얻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
이런 내용으로 인해 저번주에 장중에 아스트라 관련 주 들이 휘청 거렸었죠
현실적으로 뉴스에 이런 악재 기사나 현실 공방을 두고 이슈 거리가 되면 주가 변동성이 커지면서 불안심리가 작용하는 거 같더라고요.
거기다 한방을 떄렷던 기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
뉴욕타임스(NYT)는 25일(현지시간) "아스트라제네카의 임상 3상 결과가 신뢰도를 떨어뜨린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의 규제 당국이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 코로나 19 백신의 긴급 사용을 승인할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
그에 따른 영국에 반응은 아래와 같습니다.
----------------------------------------------------------------------------------------------------------------------------------
맷 핸콕 영국 보건부 장관은 2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규제당국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엄격한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을 요청했다"라고 전해 영국 의약품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적합성 평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음을 알렸다
----------------------------------------------------------------------------------------------------------------------------------
영국 입장에서는 일단 승인 심사 개시를 선언했는데요.
저는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예로 생각해봤는데요.
우리나라 셀트리온이 위와 같은 사례가 발생했고, 우리나라에서는 자국 기업 감싸기에 따른 셀트리온에 식약청 심사를 진행하겠다와 미국에서는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하면 어떻게 대응하실 건가요 여러분은?
어차피 결론은 시간이 해결해주겠지만 불확실성이 있는 한 이러나저러나 불안요소가 있어서 분명 주가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네요. 기다려서 좋은 호재가 터지면 좋겠지만 악재가 터질 수도 있으니 보수적으로 일단은 투자 관망을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3. 카카오 뱅크
조금 잊힐만하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는 이슈인 거 같네요.
카카오 뱅크 IPO로 인해 증권사 경쟁이 매우 치열한데요. 그냥 개인적으로 봐도 치열할 수밖에 없을 거 같네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때와도 마찬가지로 엄청난 대어이기 때문이죠
더구나 카뱅같은경우 금융권이기 때문에 자본주의에 필수 요소인 돈이 오가는 곳이라 더욱더 매력이 있는 거 같습니다.
제가 바도 1 금융권에 비해 규제도 덜하면서 사람들에게 인지도도 잘 받고 있어서 크게 성장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음 주중으로도 한번 뭔가가 터지지 않을까 싶네요
관련 수혜주로는 예스24/한세예스24홀딩스/한국금융지주 로 생각 됩니다.
'내일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코스닥,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0) | 2020.12.08 |
---|---|
내일의 이슈 종목 12/2(아시아나,KCGI,한진칼,대한항공,삼성전자,SK이노베이션) (0) | 2020.12.01 |
내일의 이슈 11/31(모더나,신라젠) (0) | 2020.11.30 |
11/29 아시아나항공,대한항공,KCGI,AI 확산(내일의 이슈) (0) | 2020.11.29 |
11/27 오늘의 이슈 종목 한눈에 보기 (0) | 2020.11.27 |